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kakao blind recruitment
- programmers level test
-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 수 파이썬
- 완전탐색
- 카카오 블라인드 테스트
- Python
- 프로그래멋
- level1
-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 수
- python3
- 파이썬
- 테스트케이스 7
- programmers python
- 테스트케이스5
- 프로그래머스 더 맵게 파이썬
- programmers 체육복 파이썬 풀이
- 멀쩡한 사각형 파이썬
- 더 맵게
- 프로그래머스
- 방금 그곡
- 프로그래머스 기능개발 파이썬3
- 124 나라의 숫자 파이썬
- 카카오블라인드
- 다리를 지나는 트럭
- programmers
- 서머 윈터코딩 파이썬
- kakao blind recuritment
- 파이썬3
- level test 1
- 프로그래머스 기능개발
- Today
- Total
코린스토리
[Programmers] Level 1 K번째 수 파이썬 본문
문제 설명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-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-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-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-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-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-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입출력 예
arraycommandsreturn
[1, 5, 2, 6, 3, 7, 4] | 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 | [5, 6, 3] |
입출력 예 설명
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나의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|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answer=[]
tmp=[]
for i in range(len(commands)):
a=commands[i][0]
b=commands[i][1]
c=commands[i][2]
tmp=array[a-1:b]
d=tmp[c-1]
return answer
|
사유 과정
우선 commands 배열을 받아와서 List slicing 과 sort를 사용했다. 확실히 파이썬은 이런면에서 편한 것 같다. 물론 시간복잡도는 보장하지 못한다.
Slicing을 오랜만에 사용해서 범위가 헷갈렸다.
a = ['a', 'b', 'c', 'd', 'e']
a[ : 2 ]
['a', 'b']
a[ 1 : ]
['b', 'c', 'd', 'e']
요 두가지만 잘 기억하면 될 것 같다. 그리고 프로그래머스에서 다른사람의 풀이를 보는데 충격적인 풀이도 보았다.
1
2
|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return list(map(lambda x:sorted(array[x[0]-1:x[1]])[x[2]-1], commands))
|
Lambda와 map을 잘 활용한 식이다. 보고 반성해야겠다.
'Programmers Test > Level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rogrammers] Level 1 2016년 파이썬 (0) | 2020.01.03 |
---|---|
[Programmers] Level 1 체육복 파이썬 (0) | 2020.01.02 |
[Programmers] Level 1 수포자 파이썬 (0) | 2019.12.30 |
[Programmers] Level 1 . 완주하지 못한 선수 파이썬 (0) | 2019.12.28 |
[Programmers]Level 1 행렬의 덧셈 파이썬 (0) | 2019.12.28 |